Development/Git

Git :: 설치부터 기본 사용법까지 (2) - git 사용법(github, 명령어)

고고마코드 2021. 12. 13. 22:57
반응형

환경 : Window 11 64비트, github
git init ~ git push 까지 기본 사용법

git 설치가 필요하다면 Git 설치부터 기본 사용법까지 (1) - git 설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git 기본 사용법은 이미 알고 있고 협업(팀프로젝트) 하는 방법이 궁금하면 Git 설치부터 기본 사용법까지 (3) - git 으로 협업(팀프로젝트)하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
Git 이해하기

git을 사용하기 전 git 용어에 대한 개념이 잡혀있어야 한다.

  • Repository (Local / Remote)
    저장소 / 히스토리, 태그, 소스를 브랜치에 따라 버전을 나누어 저장한다. 변경한 모든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.
   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와 반드시 구분지어서 이해해야 한다.


  • Working Tree
    저장소의 특정 시점을 보는 작업자의 현재 시점 (현재 작업 구역이라고 이해해도 된다)


  • Staging Area
    저장소에 Commit 하기 전 특정 지역 (스테이징 되었다. 라는 말은 add 되었다는 말로 이해하면 된다. 추후 git add 명령어와 연관이 있다)


  • Commit
    현재 변경된 작업 상태를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는 작업


  • Push
    로컬 저장소에 저장한 작업을 원격 저장소에 반영하는 작업


  • Head
    현재 작업중인 브랜치


  • Brnach
    분기점


  • Merge
    다른 브랜치의 소스를 현재 브랜치로 가져와 합치는 작업


  • Tracked / UnTracked
    변경 상태를 추적/미추적


그림으로 이해하면 아래와 같다.

출처 :그림으로 보는 Git의 개념 이해하기 (stories.pe.kr)


GitHub 준비

GitHub 홈페이지로 이동해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한다.

로그인을 하게 되면 좌측 상단에 Repositories 가 보일 것이다.

New 를 클릭한다.

저장소 생성

  • Owner
    소유자를 선택 (테스트용이므로 본인으로 선택)


  • Repository name
    사용할 저장소 이름을 입력


  • Description
    저장소 설명


  • public & private

    • Public
      공개 저장소 (모든 사람이 조회 가능, Commit은 지정한 사람만 가능)

    • Private
      비공개 저장소 (지정한 사람만 조회 가능, Commit 가능)


  • Add a README file
    저장소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할 파일 추가


  • Add .gitignore
    저장소에 포함시키고 싶지 않은 파일들의 폴더명,파일명 등을 추가


  • Choose a license
    라이센스 선택
    가장 기본부터 학습할 예정이므로 사진에서 Description 정도만 추가하고 생성
    생성하면 저장소의 초기 시작을 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보여준다.



git 사용법 - git bash, 명령어

이제 저장소로 사용하길 원하는 폴더의 경로로 이동한다.

(만약 별도로 저장하길 원하는 경로가 없다면 아래 테스트를 위한 샘플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)

git_test.zip
0.00MB

원하는 폴더(위 예제라면 git_test)를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해서 Git Bash Here 을 실행

git 을 사용하기 위한 초기 사용자 설정
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your email"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your name"

두 명령어를 입력해 사용자(자신)를 설정한다.

저장소 초기 생성 - git init

git init
>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저장경로/git_test/.git/

저장소 상태 확인 - git status

git status

아직 Commit 을 하지 않았기에 No commits yet 이라고 나온다.

이제 Commit 을 해야 하는데 그 전에 변경된 파일들을 기록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.

변경된 파일 기록(스테이징) - git add

git add test1
#변경된 사항 중 test1 폴더만 추가
git status

git add .
#변경된 사항 모두 추가

순서대로 따라해보면 무슨 차이가 있는 지 알 수 있다.

  • git add test1 후에 git status 를 한 결과
    test1 폴더 및 하위 폴더&파일만 기록되었다.

  • git add . 후에 git status 를 한 결과
    나머지 test2,3,4 폴더&파일이 모두 한 번에 기록되었다.

변경 사항 저장 - git commit (변경 내용 중 스테이징된 파일을 저장한다)

git commit
#변경 사항 저장

git commit -m "기록할 내용"
#변경 사항 및 내용 저장
  • git commit
    별도의 내용 기입 없이 commit 만 한다.


  • git commit -m "기록할 내용"
    "기록할 내용" 이라는 내용이 추가되어 commit (추후 기록 관리를 위해 아래 방법으로 사용해야 한다)


정상적으로 commit 이 된 결과이다.

git status 로 잘 반영이 되었는지 확인을 한 번 해준다.

더 이상 저장할 내용이 없다는 뜻이다. (이미 add 된 파일들을 모두 commit 했기 때문)

이제 저장한 내용들을 실제로 저장소에 반영해야 한다.

그 전에 아직 우리의 원격 저장소(실제 저장소)가 어디인지 지정해주지 않았다.

원격 저장소 지정 - git remote

git remote -v
#원격 저장소 확인
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[계정]/repo-test.git
#원격 저장소 지정, [계정] 부분에 자신의 github 계정명(이메일 주소 아님)을 입력

git remote -v
#원격 저장소 확인

순서대로 하나씩 실행해보면 결과를 확실히 알 수 있다.

  • git remote -v
    아마 처음으로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무 반응도 없을 것이다. 아직 원격 저장소가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.


  •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[계정]/repo-test.git
    원격 저장소를 지정하는 명령어다. [계정] 부분에 자신의 github 계정을 입력하면 된다.


  • git remote -v
    이제 원격 저장소를 지정했으니 지정된 원격 저장소가 보일 것이다.

원격 저장소에 반영 - git push

앞서 commit 으로 저장한 내용을 이제 실제로 저장소에 반영해야 한다.

git push 는 실제 저장소에 반영할 때 쓰는 명령어이다.

git push origin master
#원격 저장소의 master branch 에 push

만약 처음이면 push 할 때 github 의 계정에 push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. 간단하게 본인인증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인증하면 된다. (token 은 계정 생성 시 발급되는 token 이므로 그냥 홈페이지 로그인 해서 인증하면 편하다)

만약 위 psuh 명령어가 먹히지 않는다면 처음 생성 시 master 브랜치가 아닌 다른 브랜치로 생성되었을 것이다.

그렇다면 git bash 에 하늘색으로 보이는 게 브랜치 이름이니 그 이름으로 바꿔주면 된다.

브랜치이름

또는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.

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newBranch

원격 저장소에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며 push 하는 명령어이다.

push 하고 github를 새로고침하면 이렇게 반영된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.


실제 협업(팀프로젝트)을 위한 사용법은 아래 포스팅에서 계속됩니다.

Git 설치부터 기본 사용법까지 (3) - git 으로 협업(팀프로젝트)하기 (tistory.com)


반응형